중요한 건 아니지만파이썬에서 슬라이싱 할 때 자꾸만 머릿 속에서 이런 호기심이 들었다. 1. 대괄호안에 파라미터가 2개인 경우와 3개인 경우2. 숫자가 비어 있는 경우3. 인덱스가 양수:양수인 경우, 양수:음수인 경우, 음수:양수인 경우, 음수:음수인 경우 등 4.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싱, 왼쪽 방향( 상상해 볼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슬라이싱해 주면 결과값이 어떻게 되는지 항상 궁금했다.이 포스팅에서는 리스트 슬라이싱의 모든 유형을 계산해서유형별로 어떻게 되는 것인지 결과를 끝장을 내 볼 것이다.흐 커피 한 잔만 먹고 시작해야디^^ 1. 인자 2개, 인자 3개 Python에서 슬라이싱(slicing) 구문에는 두 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인자를 2개 사용하는 경우와 3개 사용하는..
1. 문제설명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제한사항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array의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