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f 명령어df 명령어는 'disk free'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의 용량과 사용 현황을 표시해준다.$ df -h * -h(human-readable) 옵션을 사용하면 용량을 보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함. 예를들면 "100M" 대신 "100MB"와 같이 출력 2. du 명령어du 명령어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와 파일의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되며, df와 달리 파일 객체 하나하나의 용량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1)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h /home/user 2) 현재 폴더의 하위폴더 및 파일 용량 확인$ du -hs * 3) 현재 폴더에서 파일 용량이 큰 순서대로 출력$ du -h --max-depth=1 | sort -hr 4) 현재 폴더에서 상위 10개 폴더..
✅ chmod`chmod` 는 bash나 셸에서 파일 또는 폴더의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사용법8진수 모드를 사용하거나 문자열 모드를 사용하여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8진수 모드의경우chmod [옵션] [소유자권한][그룹권한][그외사용자권한] [파일또는폴더]# 문자열 모드의 경우chmod [옵션] [레퍼런스][연산자][권한] [파일또는폴더] ✅ 권한 확인파일 또는 폴더의 권한은 rwx 로 표시되며 셸에서 ls -al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의 d 는 해당 항목이 파일인지 폴더인지를 나타내며 d 가 있으면 폴더이다. ✅ 파일 권한 정보 (소유권/허가권) 확인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22 16:59 conory파일Type 퍼미션정보 ..
1. umask란?umask(user file-creation mode mask)는 리눅스/유닉스에서 새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값.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만들 때 기본 퍼미션에서 umask 값을 빼서 최종 접근 권한이 설정된다. 기본 퍼미션파일: 기본적으로 666(rw-rw-rw-) → 왜? 실행 권한(x)은 기본적으로 없음디렉터리: 기본적으로 777(rwxrwxrwx) 2. umask 값이 022일 때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은?✔️ 파일 생성 시기본 퍼미션: 666umask 022 적용: 666 - 022 = 644 (rw-r--r--)결과적으로, 소유자는 읽기·쓰기 가능, 그룹과 기타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 디렉터리 생성 시기본 퍼미션: 777..
1. 크론 표현식 (Cron Expression) 이란?크론 표현식(Cron Expression)은 시간 기반 작업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문자열 형식의 규칙이다. 주로 리눅스의 크론(Cron) 스케줄러나 Spring Scheduler, Quartz Scheduler 같은 일정 예약 시스템에서 어떤 작업을 특정한 시간에 반복하기 위해 사용한다. 2. crontab 명령과 crond 데몬리눅스에서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려면 `crontab` 명령과 `crond` 데몬을 활용한다. 2-1. crontab 명령어 🚀 crontab은 cron table의 줄임말로 사용자가 반복해서 실행할 명령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작업 예약 시스템 리눅스 명령어이다. ✅ `crontab` 명령..
Basic Command 정리자동완성: `Tab` 키 ** 폴더나 파일 입력할 때 해당 위치 안에 있는 폴더나 파일은 앞글자만 입력하고 탭키 누르면 자동완성붙여넣기:`Shift + INS` 또는 우클릭** Ctrl + v 하면 Ctrl이 특수문자 ^로 입력되는 경우가 있음 1. ls (List)ls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기본 형식으로 보여준다. ls -l :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함께 리스트업 한다. ls -a :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env` 같은 환경설정 파일들은 숨겨져 있어서 그냥 -ls 로는 안나온다. `ls -a`이나 `ls -al`로 검색해야 한다. 2. cd (Change Directory)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c..
안녕하세요오늘은 리눅스 명령어 연습해 볼 수 있는 사이트 소개해드릴게요 JS Linux입니다! https://bellard.org/jslinux/ JSLinuxJSLinux Run Linux or other Operating Systems in your browser! The following emulated systems are available: CPUOSUserInterfaceVFsyncaccessStartupLinkTEMUConfigComment x86Alpine Linux 3.12.0ConsoleYes click here url x86Alpine Linux 3.12.0X WindowYes click hbellard.org 저는 윈도우를 쓰는데요.이 웹사이트 이용하시면 브라우저에서 Linux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