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 Learn Git BranchingAn interactive Git visualization tool to educate and challenge!learngitbranching.js.org직접 해본 정답 모음 답만 원하시는 분5.1 Rebasing over 9000 times git checkout bugFix;git describe main;git describe side;git describe bugFix;git commit; 5.2 Multiple Parents git branch bugWork master~^2~ 5.3 Branch Spaghetti git checkout onegit cherry-pick C4 C..
My Tech Blog (명령어)
오늘의 명언
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 Learn Git BranchingAn interactive Git visualization tool to educate and challenge!learngitbranching.js.org 직접 해본 정답 모음 답만 원하시는 분3.1 Cherry-pick Intro git cherry-pick C3 C4 C7; 3.2 Interactive Rebase Intro git rebase -i HEAD~4 3. 코드 이리저리 옮기기지금까지 우리는 git의 기초를 배웠다.커밋을하고, 브랜치를 만들고, 소스 트리 여기저기를 돌아다녀 보았다.이런 개념들을 아는 것만으로도 git repository의 힘을 90%이상 사용하고 개발자들이 필..
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 Learn Git BranchingAn interactive Git visualization tool to educate and challenge!learngitbranching.js.org 직접 해본 정답 모음 답만 원하시는 분 2.1 Detach yo’ HEAD git checkout bugfix^; 2.2 Relative Refs (^) git checkout C4^; 2.3 Relative Refs #2 (~) git checkout C0; git branch -f bugFix HEAD~0; git checkout C6; git branch -f main HEAD~0; git checkout C1git checkout ..
⚠️ 문제포트포워딩 했는데 외부IP에서는 접속 안되는 문제를 겪음그래서 하나씩 원인규명중이다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후 포트가 제대로 열려 있는지 확인하는 법⚡ 해결법cmd에서 netstat -an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netstat -an | find "8080"netstat -an | find "80" 포트가 열려 있으면 아래와 같이 LISTENING 문구가 출력된다.TCP 0.0.0.0:8080 0.0.0.0:0 LISTENINGTCP [::]:8080 [::]:0 LISTENING이 결과는 8080 포트가 현재 열려 있고 리스닝 중인 상태임을 나타낸다.0.0.0.0:8080 또는 [::]:8080..
1. df 명령어df 명령어는 'disk free'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의 용량과 사용 현황을 표시해준다.$ df -h * -h(human-readable) 옵션을 사용하면 용량을 보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함. 예를들면 "100M" 대신 "100MB"와 같이 출력 2. du 명령어du 명령어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와 파일의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되며, df와 달리 파일 객체 하나하나의 용량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1)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h /home/user 2) 현재 폴더의 하위폴더 및 파일 용량 확인$ du -hs * 3) 현재 폴더에서 파일 용량이 큰 순서대로 출력$ du -h --max-depth=1 | sort -hr 4) 현재 폴더에서 상위 10개 폴더..
✅ chmod`chmod` 는 bash나 셸에서 파일 또는 폴더의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사용법8진수 모드를 사용하거나 문자열 모드를 사용하여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8진수 모드의경우chmod [옵션] [소유자권한][그룹권한][그외사용자권한] [파일또는폴더]# 문자열 모드의 경우chmod [옵션] [레퍼런스][연산자][권한] [파일또는폴더] ✅ 권한 확인파일 또는 폴더의 권한은 rwx 로 표시되며 셸에서 ls -al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의 d 는 해당 항목이 파일인지 폴더인지를 나타내며 d 가 있으면 폴더이다. ✅ 파일 권한 정보 (소유권/허가권) 확인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22 16:59 conory파일Type 퍼미션정보 ..
1. 크론 표현식 (Cron Expression) 이란?크론 표현식(Cron Expression)은 시간 기반 작업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문자열 형식의 규칙이다. 주로 리눅스의 크론(Cron) 스케줄러나 Spring Scheduler, Quartz Scheduler 같은 일정 예약 시스템에서 어떤 작업을 특정한 시간에 반복하기 위해 사용한다. 2. crontab 명령과 crond 데몬리눅스에서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려면 `crontab` 명령과 `crond` 데몬을 활용한다. 2-1. crontab 명령어 🚀 crontab은 cron table의 줄임말로 사용자가 반복해서 실행할 명령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작업 예약 시스템 리눅스 명령어이다. ✅ `crontab` 명령..
⚠️ 문제커밋 후 푸시할 때 아래와 같은 오류메세지Fatal: The current branch main has no upstream branch 하지만 이렇게 하면 다음에 또 같은 명령어로 푸쉬해 줘야 하기 때문에 🧐 원인git push 명령어만으로 푸시가 되지 않는 이유는, 현재 로컬 브랜치가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main 브랜치가 어떤 원격 저장소(origin)의 브랜치와 연결되지 않아서, Git이 어디로 푸시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인 것이다.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git push 명령어에서 어떤 원격 저장소에 푸시할지 명시해주어야 한다. git push만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연결된 원격 저장소가 필요하고, 이때 연결된 원격 저장소가 없으면 오류가 발생하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