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명령어 연습해 볼 수 있는 사이트 소개해드릴게요
JS Linux입니다!
JSLinux
JSLinux Run Linux or other Operating Systems in your browser! The following emulated systems are available: CPUOSUserInterfaceVFsyncaccessStartupLinkTEMUConfigComment x86Alpine Linux 3.12.0ConsoleYes click here url x86Alpine Linux 3.12.0X WindowYes click h
bellard.org
저는 윈도우를 쓰는데요.
이 웹사이트 이용하시면 브라우저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어요.
JS Linux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WebAssembly와 Emscripten 같은 도구를 활용해서 구현돼요.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가벼운 Linux 환경을 체험해 볼 수 있어요. 간단하게 리눅스 명령어 학습 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해요.
상단의 링크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표가 화면에 나오는데, 유저 인터페이스가 Console로 된 Alpine Linux 3.12.0 의 Startup link 클릭해주세요!

클릭하시면 터미널이 나오고 로딩이 됩니다.

조금 더 기다리시면 이 상태에서 리눅스 명령어 체험이나 테스트를 해 볼 수 있어요.
제가 한 번 간단하게 몇 가지 테스트 한거 여러분께 보여드릴게요~

이렇게 화면에 커서가 연두색으로 깜빡깜빡 하는데 여기에 명령어를 입력 해 주세요

✨ 디렉터리 (Directory)
리눅스와 같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 내에서 파일 을 그룹화하고 관리하는 논리적인 단위
(디렉토리 = 폴더)
✨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절대 경로(absolute path) 출력
✨ cd [디렉토리경로]
= change directory
현재 위치 변경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
/ : 루트 디렉토리 (최상위 디렉토리)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 (예: /home/user)
/root :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bin : 기본 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토리 (예: ls, cp, mv 등)
/etc :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var : 시스템 로그, 캐시 파일 등
/tmp :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 참고로 `Tab`키 누르면 디렉토리명 자동완성 가능
✨c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에서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root 는 루트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여기서 상위로 올라가면 /
/는 루트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파일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토리이다.
Windows 시스템에서의 C:\ , D:\ 와 같은 역할
✨ mk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 make directory
✨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
ls는 list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과 폴더를 나열
폴더명은 파란색 으로 표시되고, 일반 파일은 흰색 글씨로 나타남.
✨touch [파일명]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의 수정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
✨ cat [파일명]
= concatenate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여러 파일을 합쳐서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

✨ vi [파일명]
파일을 열고 편집할 수 있는 편집창으로 이동
vi는 visual editor의 약자로 텍스트 편집기이다.
명령 모드와 편집(수정) 모드를 함께 제공하여 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vi [파일명] 으로 에디터로 들어오면 기본적으로는 명령모드 상태로 시작된다.
명령모드는 파일을 저장한다든지, 내용을 검색한다든지 하는 명령어 입력하는 모드
수정모드는 실제로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
현재 명령모드

✨ i
수정모드로 진입하는 명령어
텍스트를 적어보기

✨ Esc
명령모드로 진입하는 명령어
수정모드일 때는 커서가 글자 다음에 위치
명령모드일때는 마지막 글자 위에 위치

✨ 저장하고 종료 :wq Enter
✨ 저장 안하고 종료 :q! Enter
vi 에디터가 종료되면 다시 명령어 입력하는 줄이 뜸
다시 cat 파일명 눌러서 파일 열어보면 텍스트가 저장된게 보인다!

✨ ls는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만을 나열하고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표시되지 않는다. (파일 이름이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제외됨).
✨ ls -al는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나온다.(숨김파일 포함)

✨ rmdir [디렉토리명]
비어있지 않은 폴더는 지워지지 않음
✨ rm -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rm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할 때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프롬프트를 띄운다. 예를 들어, rm으로 파일을 삭제하려고 할 때, 파일을 정말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고, y를 입력해야 삭제가 진행된다.
위와 달리 f 옵션을 붙이면 경고 메세지 없이 강제 삭제
✨ rm -rf 명령어는 강제로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r: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삭제
-f: 삭제할 때 경고 없이 강제로 삭제

'Linux&She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리눅스] 파일 or 폴더 용량 확인 - df, du (1) | 2025.04.16 |
|---|---|
| [Linux/리눅스] chmod - 파일 및 폴더의 권한 설정, 퍼미션(permission)이란? (5) | 2025.03.07 |
| [Linux/리눅스] umask란? umask 값 계산하기 (6) | 2025.03.05 |
| [Linux/리눅스] 크론 표현식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5.03.05 |
| [Linux/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5)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