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공부하다가 나만 보려고 이렇게 자세하게 적을 생각 없었는데
혹시나 제 블로그 들어오실 수도 있는 분들을 위해서 그냥 다 요약해서 적어 봅니다
파이썬의 자료 구조
리스트 [ ] Square BracketS |
튜플 ( ) Round Brackets |
셋 { } Braces |
딕셔러니 { 'key:value' } |
1. 리스트(List)
- 배열처럼 여러 요소를 갖는 집합,
- 새로운 요소 삽입, 갱신, 삭제 가능
- 파이썬 리스트는 동적 배열, 즉 자유롭게 확장 가능
- [] 대괄호 사용
- 각 요소들은 서로 다른 타입도 가능
✅ 리스트 메서드
- # list.index(요소)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 위치 검색 - 첫번째 시작하는 위치 반환
- # list.count(요소) 리스트 안에 위치가 포함된 개수
list = [ 1, 2, 3, 2, 3, 4, 5, 6, 7, 1, 2, 3, 4]
print(list.index(2)) #1
print(list.count(2)) #3
- # list.insert(삽입할 위치, 값) 특정 위치에 요소 삽입
- # list.append(요소) 리스트 끝에 요소 삽임
- # del(list[i]) 리스트 특정 위치 요소 삭제
- # list.remove(요소) 리스트 특정 요소 삭제
- # list.pop()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 출력 후 삭제
- # len(list) 리스트 요소의 개수
- # list.extend(list2) 리스트에 list2 병합
- # list.split('분리기준 문자') 리스트로 분리
list3 = 'dain^choi^hot^girl'.split('^')
print(list3) #['dain', 'choi', 'hot', 'girl']
- # list.sort() 리스트 정렬 (오름차순)
- # sorted(list) 정렬 후 복사
- # list.reverse() 리스트 역순 출력
- # list.clear() 리스트 내용 모두 삭제
2. 튜플(Tuple)
- 리스트와 다른 점은 새로운 요소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
- 즉, 정해진 요소만을 넣어야 함
- ( ) 중괄호를 쓴다
tup = ('dain', 'hot', 166.5)
print(tup) # ('dain', 'hot', 166.5)
3. 셋(Set)
- 중복이 없는 요소로만 구성
- 그래서 정렬의 의미가 없다(순서의 의미 없음)
set_data = { 1, 2, 3, 1, 2, 3, 4 }
print(set_data) # {1, 2, 3, 4}
✅ 셋 메서드
s = {1, 5, 1, 1, 1, 3, 7}
- # 포함 여부 확인
print(2 in s) #False
print(3 in s) #True
여기서 뜬금없지만 C언어, 자바, 파이썬의 참, 거짓값 반환 형식 비교 팁▼
Python | C | Java |
True, False | 1, 0 | true, false |
- # 요소 추가
s.add(6)
print(s) # {1, 3, 5, 6, 7}
- # 여러 요소 추가 : 이 때 매개변수로 리스트 형태로 값을 전달
s.update([3, 4, 5])
print(s) # {1, 3, 4, 5, 6, 7}
- # 요소 제거
s.remove(6)
print(s) # {1, 3, 4, 5, 7}
s.remove(2)
- # 요소 복사
t = s.cotpy()
print(t) # {1, 3, 4, 5, 7}
4. 딕셔너리(dict)
- 키(Key) - 값(Value) 쌍으로 되어 있는 구조
- 키 로 값을 찾을 수 있는 해시테이블 구조
# 선언
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print(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print(dict_data['다인']) #80
dict_data['다인'] = 88
print(dict_data['다인']) #88
# 아래 딕셔너리에서 키와 값 추출하기
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 키 추출
keys = dict_data.keys();
print(keys)
for name in keys:
print(name)
#출력값
#다인
#보라
#다미
# 값 추출
values = dict_data.values();
print(values)
for val in values:
print(val)
#출력
#80
#75
#90
# 키가 있는지 체크하여 가져오기
print(dict_data.get('다인')) #80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정보처리기사 자바의 상속 & 생성자 (3) | 2024.10.23 |
---|---|
[Java] 자바의 예외처리 키워드, 예시, 종류 정리 (1) | 2024.10.18 |
[Java] 정보처리기사 추상클래스 / 인터페이스 정리 (오류 발생 문제 풀이) (3) | 2024.10.18 |
[Python] 파이썬 학습노트3 - 문제풀이, 슬라이싱, lambda(람다) (2) | 2024.10.16 |
[Python] 파이썬 학습노트 1 - 기본 문법 & 문자열 관련 메서드 (2) | 2024.10.15 |

아.... 공부하다가 나만 보려고 이렇게 자세하게 적을 생각 없었는데
혹시나 제 블로그 들어오실 수도 있는 분들을 위해서 그냥 다 요약해서 적어 봅니다
파이썬의 자료 구조
리스트 [ ] Square BracketS |
튜플 ( ) Round Brackets |
셋 { } Braces |
딕셔러니 { 'key:value' } |
1. 리스트(List)
- 배열처럼 여러 요소를 갖는 집합,
- 새로운 요소 삽입, 갱신, 삭제 가능
- 파이썬 리스트는 동적 배열, 즉 자유롭게 확장 가능
- [] 대괄호 사용
- 각 요소들은 서로 다른 타입도 가능
✅ 리스트 메서드
- # list.index(요소)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 위치 검색 - 첫번째 시작하는 위치 반환
- # list.count(요소) 리스트 안에 위치가 포함된 개수
list = [ 1, 2, 3, 2, 3, 4, 5, 6, 7, 1, 2, 3, 4] print(list.index(2)) #1 print(list.count(2)) #3
- # list.insert(삽입할 위치, 값) 특정 위치에 요소 삽입
- # list.append(요소) 리스트 끝에 요소 삽임
- # del(list[i]) 리스트 특정 위치 요소 삭제
- # list.remove(요소) 리스트 특정 요소 삭제
- # list.pop()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 출력 후 삭제
- # len(list) 리스트 요소의 개수
- # list.extend(list2) 리스트에 list2 병합
- # list.split('분리기준 문자') 리스트로 분리
list3 = 'dain^choi^hot^girl'.split('^') print(list3) #['dain', 'choi', 'hot', 'girl']
- # list.sort() 리스트 정렬 (오름차순)
- # sorted(list) 정렬 후 복사
- # list.reverse() 리스트 역순 출력
- # list.clear() 리스트 내용 모두 삭제
2. 튜플(Tuple)
- 리스트와 다른 점은 새로운 요소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
- 즉, 정해진 요소만을 넣어야 함
- ( ) 중괄호를 쓴다
tup = ('dain', 'hot', 166.5) print(tup) # ('dain', 'hot', 166.5)
3. 셋(Set)
- 중복이 없는 요소로만 구성
- 그래서 정렬의 의미가 없다(순서의 의미 없음)
set_data = { 1, 2, 3, 1, 2, 3, 4 } print(set_data) # {1, 2, 3, 4}
✅ 셋 메서드
s = {1, 5, 1, 1, 1, 3, 7}
- # 포함 여부 확인
print(2 in s) #False print(3 in s) #True
여기서 뜬금없지만 C언어, 자바, 파이썬의 참, 거짓값 반환 형식 비교 팁▼
Python | C | Java |
True, False | 1, 0 | true, false |
- # 요소 추가
s.add(6) print(s) # {1, 3, 5, 6, 7}
- # 여러 요소 추가 : 이 때 매개변수로 리스트 형태로 값을 전달
s.update([3, 4, 5]) print(s) # {1, 3, 4, 5, 6, 7}
- # 요소 제거
s.remove(6) print(s) # {1, 3, 4, 5, 7} s.remove(2)
- # 요소 복사
t = s.cotpy() print(t) # {1, 3, 4, 5, 7}
4. 딕셔너리(dict)
- 키(Key) - 값(Value) 쌍으로 되어 있는 구조
- 키 로 값을 찾을 수 있는 해시테이블 구조
# 선언
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print(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print(dict_data['다인']) #80 dict_data['다인'] = 88 print(dict_data['다인']) #88
# 아래 딕셔너리에서 키와 값 추출하기
dict_data = {'다인':80, '보라':75, '다미':90}
# 키 추출
keys = dict_data.keys(); print(keys) for name in keys: print(name) #출력값 #다인 #보라 #다미
# 값 추출
values = dict_data.values(); print(values) for val in values: print(val) #출력 #80 #75 #90
# 키가 있는지 체크하여 가져오기
print(dict_data.get('다인')) #80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정보처리기사 자바의 상속 & 생성자 (3) | 2024.10.23 |
---|---|
[Java] 자바의 예외처리 키워드, 예시, 종류 정리 (1) | 2024.10.18 |
[Java] 정보처리기사 추상클래스 / 인터페이스 정리 (오류 발생 문제 풀이) (3) | 2024.10.18 |
[Python] 파이썬 학습노트3 - 문제풀이, 슬라이싱, lambda(람다) (2) | 2024.10.16 |
[Python] 파이썬 학습노트 1 - 기본 문법 & 문자열 관련 메서드 (2)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