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할일
✅ TCP & UDP
✅ 포트번호
✅ NAT & NAPT
✅ 프로그래머스 - 개미 군단, 모스부호(1), 가위바위보, 구슬을 나누는 경우의 수: 점심시간/오후
✅ 스케줄링 문제 푸는 중



✅ MAC주소와 IP 주소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 두 개를 연결
- ipconfig /all 하면 IP주소와 MAC 주소 모두 확인 가능
- 데이터는 정해진 크기로 분할되고, 필요한 헤더를 실은 채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더넷으로 흐른다. 애플리케이션데이터가 목적지에 무사히 도달하려면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하다.
네트워크 계층의 IP는 패킷에서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이더넷에 패킷을 전달하고자 목적지 MAC 주소를 조사한다. 이 때 이용하는 것이 ARP이다.
- ① 목적지 IP주소 192.168.5.10을 가진 MAC 주소를 ARP가 검색해서 IP에 알려줌
- ② IP는 전달받은 MAC 주소를 MAC 헤더에 추가하고 데이터를 전송함.
ARP가 IP 주소로 MAC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
- ① 같은 네트워크 기기를 전체 호출한다. (ARP 요청) - IP주소 '19.168.5.10'의 MAC주소는?
- ② 호출한 조건에 맞는 기기가 응답한다. (ARP 응답) - 라우터D: 내가 '193.168.5.10'으로 MAC 주소는 A
- ③ 조회한 결과를 기록한다. (ARP 캐싱) - 이 정보를 ARP 캐시에 메모
ARP 캐시정보는 ARP 테이블이라는 곳에 저장되고, 오래된 정보는 남겨 두지 않는다. cmd에서 arp -a 입력하면 정보 확인 가능
✅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 트랙 양 끝까지 이동하는지 여부
반드시 트랙 양 끝까지 이동하지는 않음. 만약 요청이 트랙의 양 끝에 분포해 있다면, 필요에 따라 끝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 트랙 0번 방향으로이동한다 했을때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지 여부
SSTF는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처리하므로, 특정한 방향(예: 0번 트랙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헤드가 특정 방향(0번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주어져 있더라도, 더 가까운 요청이 반대 방향에 있으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SCAN
한 쪽 방향으로 쭉쭉쭉쭉 끝 찍고 방향 돌리고 그대로 빠져나가면서 쭉쭉쭉쭉
scan 한쪽끝으로 이동후 방향 틀고나서 마지막 작업 처리 후 그 방향 끝까지 가?
SCAN 알고리즘에서는 방향을 바꾼 후에도 요청된 마지막 트랙까지만 이동하며, 그 방향의 끝까지 반드시 가는 것은 아니다. 즉, 방향 틀기 전에 0번 or 오른쪽 끝 찍지만, 반대쪽 끝은 안 찍음
✅ C-LOOK 오답정리

✅ Eschenbach 에셴바흐 기법
헤드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실린더에 대해 디스크팩의 한 번의 회정 시간 동안만 입출력 요구들을 처리하는 기법이다.
✅ N-step SCAN
SCAN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일부 요청이 무한히 대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Step SCAN은 요청을 일정한 크기의 그룹(배치)으로 나누고, 한 번에 하나의 그룹만 처리하는 방식이다.
✅ crontab에서 2시는 2 랑 02 둘다 돼?
네, crontab에서 2시는 2와 02 모두 동일하게 인식된다.
crontab의 시간 설정은 숫자의 앞자리에 0이 있든 없든 동일하게 처리된다.
예를 들어:
2: 2시 (오전 2시)
02: 2시 (오전 2시)
따라서 2와 02 모두 2시로 실행되며, 두 가지 방식 모두 유효하다.
✅ crontab
- 마다 /
- 부터 ~ 까지 -
30분 마다 /30
2개월 마다 /2
일요일부터 화요일까지 0-2
1월부터 12월까지 2개월마다 1일 오전21시 10분에 /etc/batch.sh 실행되도록 하는 cron
10 1 1 1-12/2 * etc/batch.sh

'할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19 (4) | 2025.03.19 |
---|---|
[서브넷 마스크] 3문제 오답정리 (4) | 2025.03.18 |
25/03/17 (4) | 2025.03.17 |
25/03/15 ~ 25/03/16 (8) | 2025.03.15 |
25/03/14 (13) | 2025.03.14 |
오늘할일
✅ TCP & UDP
✅ 포트번호
✅ NAT & NAPT
✅ 프로그래머스 - 개미 군단, 모스부호(1), 가위바위보, 구슬을 나누는 경우의 수: 점심시간/오후
✅ 스케줄링 문제 푸는 중



✅ MAC주소와 IP 주소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 두 개를 연결
- ipconfig /all 하면 IP주소와 MAC 주소 모두 확인 가능
- 데이터는 정해진 크기로 분할되고, 필요한 헤더를 실은 채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더넷으로 흐른다. 애플리케이션데이터가 목적지에 무사히 도달하려면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하다.
네트워크 계층의 IP는 패킷에서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이더넷에 패킷을 전달하고자 목적지 MAC 주소를 조사한다. 이 때 이용하는 것이 ARP이다.
- ① 목적지 IP주소 192.168.5.10을 가진 MAC 주소를 ARP가 검색해서 IP에 알려줌
- ② IP는 전달받은 MAC 주소를 MAC 헤더에 추가하고 데이터를 전송함.
ARP가 IP 주소로 MAC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
- ① 같은 네트워크 기기를 전체 호출한다. (ARP 요청) - IP주소 '19.168.5.10'의 MAC주소는?
- ② 호출한 조건에 맞는 기기가 응답한다. (ARP 응답) - 라우터D: 내가 '193.168.5.10'으로 MAC 주소는 A
- ③ 조회한 결과를 기록한다. (ARP 캐싱) - 이 정보를 ARP 캐시에 메모
ARP 캐시정보는 ARP 테이블이라는 곳에 저장되고, 오래된 정보는 남겨 두지 않는다. cmd에서 arp -a 입력하면 정보 확인 가능
✅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 트랙 양 끝까지 이동하는지 여부
반드시 트랙 양 끝까지 이동하지는 않음. 만약 요청이 트랙의 양 끝에 분포해 있다면, 필요에 따라 끝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 트랙 0번 방향으로이동한다 했을때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지 여부
SSTF는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처리하므로, 특정한 방향(예: 0번 트랙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헤드가 특정 방향(0번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주어져 있더라도, 더 가까운 요청이 반대 방향에 있으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SCAN
한 쪽 방향으로 쭉쭉쭉쭉 끝 찍고 방향 돌리고 그대로 빠져나가면서 쭉쭉쭉쭉
scan 한쪽끝으로 이동후 방향 틀고나서 마지막 작업 처리 후 그 방향 끝까지 가?
SCAN 알고리즘에서는 방향을 바꾼 후에도 요청된 마지막 트랙까지만 이동하며, 그 방향의 끝까지 반드시 가는 것은 아니다. 즉, 방향 틀기 전에 0번 or 오른쪽 끝 찍지만, 반대쪽 끝은 안 찍음
✅ C-LOOK 오답정리

✅ Eschenbach 에셴바흐 기법
헤드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실린더에 대해 디스크팩의 한 번의 회정 시간 동안만 입출력 요구들을 처리하는 기법이다.
✅ N-step SCAN
SCAN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일부 요청이 무한히 대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Step SCAN은 요청을 일정한 크기의 그룹(배치)으로 나누고, 한 번에 하나의 그룹만 처리하는 방식이다.
✅ crontab에서 2시는 2 랑 02 둘다 돼?
네, crontab에서 2시는 2와 02 모두 동일하게 인식된다.
crontab의 시간 설정은 숫자의 앞자리에 0이 있든 없든 동일하게 처리된다.
예를 들어:
2: 2시 (오전 2시)
02: 2시 (오전 2시)
따라서 2와 02 모두 2시로 실행되며, 두 가지 방식 모두 유효하다.
✅ crontab
- 마다 /
- 부터 ~ 까지 -
30분 마다 /30
2개월 마다 /2
일요일부터 화요일까지 0-2
1월부터 12월까지 2개월마다 1일 오전21시 10분에 /etc/batch.sh 실행되도록 하는 cron
10 1 1 1-12/2 * etc/batch.sh

'할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19 (4) | 2025.03.19 |
---|---|
[서브넷 마스크] 3문제 오답정리 (4) | 2025.03.18 |
25/03/17 (4) | 2025.03.17 |
25/03/15 ~ 25/03/16 (8) | 2025.03.15 |
25/03/14 (13)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