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사가는중 3 / 9
✅ 코테 문자열 / 수학 기본
- 문자열 뒤집기, 직각삼각형 출력하기, 짝수 홀수 개수, 문자 반복 출력하기
- 특정 문자 제거하기, 각도기, 양꼬치, 짝수의 합
- 편지, 세균 증식, 배열 자르기, 점의 위치 구하기, 배열의 유사도
OSI 7 계층은 각각 역할이 있고, 인접한 계층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표현계층 - 데이터 형식을 일반적인 형식으로 변환
세션계층 - 세션 (통신 시작부터 종료까지) 관리
전송계층 - 고품질 데이터 전송 확보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끼리 중계
데이터링크계층 - 같은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제공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
OSI 7계층을 TCP/IP 모델(업계 표준 규격)로 변환
응+표+세 => 응용계층 (사용자에게 각종서비스 제공) / 애플리케이션
전송 => 출발지-목적지간 고품질 데이터 전송 / TCP-UDP
네트워크 => 데이터 전송하는 경로 선택 + 데이터 전송, 중계 / IP
데+물 => 데이터 전송 경로 /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 과정
① 전송 계층의 처리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그대로 한 번에 인터넷으로 보낼 수 없으므로 우선 정해진 크기로 작게 분할한다.② 전송 계층의 처리목적지(IP 주소)가 붙은 상자에 분할한 데이터를 넣는다.③ 네트워크 계층의 처리트럭의 컨테이너(MAC 프레임)에 이 상자를 싣고 어떻게 배송할 지 결정한다.④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의 처리필요한 경로를 선택해서(라우팅) 목적지에 도착한다.⑤ 전송 계층의 처리도착한 데이터 상자를 트럭에서 내리고, 상자에서 데이터를 꺼낸다.⑥ 전송 계층의 처리분할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면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더넷?
이더넷(Ethernet)은 **유선 네트워크(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야!
쉽게 말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유선 네트워크 방식이다.
🔗 이더넷의 특징
🏛️ OSI 7계층에서 이더넷의 위치
이더넷은 OSI 모델의 1계층(물리 계층)과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해.
물리 계층(1계층) → 케이블, 신호 전송 등 물리적 연결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 MAC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이더넷 프레임 사용)
⚙️ 이더넷의 주요 구성 요소
✅ LAN 케이블 → UTP, STP, 광섬유 등 다양한 유형의 유선 네트워크 기반 케이블 사용
✅ 스위치(Switch) →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
✅ MAC 주소 → 네트워크 장치(PC, 스위치 등)가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고유하게 부여되는 물리적 주소 (ex. 00:1A:2B:3C:4D:5E)
✅ 이더넷 프레임 →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형식(데이터를 패킷기반으로 작은 조각(프레임)으로 나눠 전송)
✅ CSMA/CD 방식 사용(과거) → 같은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


✅ 반사가는중 3 / 9
✅ 코테 문자열 / 수학 기본
- 문자열 뒤집기, 직각삼각형 출력하기, 짝수 홀수 개수, 문자 반복 출력하기
- 특정 문자 제거하기, 각도기, 양꼬치, 짝수의 합
- 편지, 세균 증식, 배열 자르기, 점의 위치 구하기, 배열의 유사도
OSI 7 계층은 각각 역할이 있고, 인접한 계층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표현계층 - 데이터 형식을 일반적인 형식으로 변환
세션계층 - 세션 (통신 시작부터 종료까지) 관리
전송계층 - 고품질 데이터 전송 확보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끼리 중계
데이터링크계층 - 같은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제공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
OSI 7계층을 TCP/IP 모델(업계 표준 규격)로 변환
응+표+세 => 응용계층 (사용자에게 각종서비스 제공) / 애플리케이션
전송 => 출발지-목적지간 고품질 데이터 전송 / TCP-UDP
네트워크 => 데이터 전송하는 경로 선택 + 데이터 전송, 중계 / IP
데+물 => 데이터 전송 경로 /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 과정
① 전송 계층의 처리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그대로 한 번에 인터넷으로 보낼 수 없으므로 우선 정해진 크기로 작게 분할한다.② 전송 계층의 처리목적지(IP 주소)가 붙은 상자에 분할한 데이터를 넣는다.③ 네트워크 계층의 처리트럭의 컨테이너(MAC 프레임)에 이 상자를 싣고 어떻게 배송할 지 결정한다.④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의 처리필요한 경로를 선택해서(라우팅) 목적지에 도착한다.⑤ 전송 계층의 처리도착한 데이터 상자를 트럭에서 내리고, 상자에서 데이터를 꺼낸다.⑥ 전송 계층의 처리분할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면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더넷?
이더넷(Ethernet)은 **유선 네트워크(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야!
쉽게 말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유선 네트워크 방식이다.
🔗 이더넷의 특징
🏛️ OSI 7계층에서 이더넷의 위치
이더넷은 OSI 모델의 1계층(물리 계층)과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해.
물리 계층(1계층) → 케이블, 신호 전송 등 물리적 연결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 MAC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이더넷 프레임 사용)
⚙️ 이더넷의 주요 구성 요소
✅ LAN 케이블 → UTP, STP, 광섬유 등 다양한 유형의 유선 네트워크 기반 케이블 사용
✅ 스위치(Switch) →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
✅ MAC 주소 → 네트워크 장치(PC, 스위치 등)가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고유하게 부여되는 물리적 주소 (ex. 00:1A:2B:3C:4D:5E)
✅ 이더넷 프레임 →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형식(데이터를 패킷기반으로 작은 조각(프레임)으로 나눠 전송)
✅ CSMA/CD 방식 사용(과거) → 같은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