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주소는 일반적으로 콜론(:)으로 구분된 16진수 8개 그룹(각각 16비트)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IPv6 주소는 긴 형식 때문에 "0 압축 표기법(Zero Compression)"을 사용하여 더 짧게 표현할 수 있다.
1. IPv6 주소 기본 형식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IPv6 주소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01:0db8:0000:0000:0000:0000:0000:1
위 주소에는 연속된 0000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IPv6 0 압축 표기법
IPv6에서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주소를 더 짧게 쓸 수 있다.
(1) 리딩(Leading) 0 생략
각 섹션의 앞에 있는 0은 생략할 수 있다.
2001:db8:0:0:0:0:0:1
(2) 연속된 0 그룹은 ::로 한 번만 축약할 수 있다.
2001:db8::1
이제 훨씬 짧아졌다.
3. 예시
원래 IPv6 주소 | 압축 표기 |
2001:0db8:0000:0000:0000:0000:0000:1 | 2001:db8::1 |
fe80:0000:0000:0000:0204:61ff:fe9d:f156 | fe80::204:61ff:fe9d:f156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 ::1 (루프백 주소)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 (미지정 주소) |
4. 주의할 점
- ::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를 사용하면 해석이 모호해짐)
- 압축 전과 후의 주소가 동일한 개수의 필드를 유지해야 한다.
- ::을 사용할 때도 전체 주소 길이는 128비트로 유지된다.
'서버&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DMZ란? (2) | 2025.04.30 |
---|---|
[네트워크] IPv4 VS IPv6 비교, 아직도 IPv4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 (4) | 2025.03.10 |
서버 이중화 (Active-Active / Active - Standby), Fail Over, 로드밸런서 (18) | 2025.03.01 |
서버 이중화(Server Redundancy)와 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의 차이 (7) | 2025.02.28 |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서브네팅, 옥텟, 사이다 표기법이란? (16)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