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elliJ 설치
2.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로 이동해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3. 요즘트렌드 Gradle > 과거 Maven
4. Spring Boot 버전 중 SNAPSHOT은 아직 만들고 있는 버전
5. Artifact 는 프로젝트명

6. Dependencies(어떤 라이브러리 쓸 것인지?)
- Spring Web (웹프로젝트용)
- Thymeleaf (html 템플릿 엔진)
Generate 해주면 Download 해서 zip파일로 받음
압축 풀어서 IntelliJ에서 실행
7. IntelliJ 에서 Open or Import -> build.gradle 프로젝트 파일로 열기

* 요즘은 main/test 폴더가 나뉘어져 있음.(표준화)
- main 밑에는 java/resources가 있음.
- java 밑에 실제 패키지랑 소스 파일
- test 에는 테스트 코드들과 관련된 소스 들어감(테스트코드가 요즘 개발 트렌드에서 중요)
- resources는 실제 자바 코드 파일 제외한 xml, properties, html 설정파일 등(자바 파일 제외 나머지)

8. build.gradle은 버전 설정이랑 라이브러리 가져오는역할
- dependencies 에서는 선택해준 라이브러리 외 테스트 라이브러리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있음
- 라이브러리를 다운받는 곳은 repositories의 mavenCentral()
- Compact Middle Packages


9. src -> main -> java 들어가서 main 메서드 실행


10. 해당 포트번호 웹으로 열어봤을 때 Error Page 뜨면 성공
메인메서드 실행하면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실행되면서 내장된 톰캣 웹서버를 자체적으로 띄워줌.


11. Preferences 설정에서 gradle 이라고 검색
- Build and run using/ Run tests using 도 IntelliJ IDEA로 바꾸기
- Gradle 통해서 run 하면 느리기 때문에 IntelliJ에서 바로 gradle 통하지 않고 자바 바로 띄워서 돌림(속도 향상)

'프로그래밍언어 > Spring&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게시판 만들기 2 _ 로그인 페이지 + 부트스트랩 + mySQL 다운로드 (62) | 2024.12.02 |
---|---|
[JSP] 게시판 만들기 1 _ 이클립스 자바 웹 프로젝트 환경설정 (6) | 2024.12.01 |
[JSP] forward(포워드) vs sendRedirect(리다이렉트) 방식 차이 (119) | 2024.11.27 |
JSP & Servlet 정리 1 (8) | 2024.11.01 |
[Spring] 제1강_ 스프링 개발을 위한 환경설정(윈도우) (0) | 2024.04.15 |
1. IntelliJ 설치
2.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로 이동해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3. 요즘트렌드 Gradle > 과거 Maven
4. Spring Boot 버전 중 SNAPSHOT은 아직 만들고 있는 버전
5. Artifact 는 프로젝트명

6. Dependencies(어떤 라이브러리 쓸 것인지?)
- Spring Web (웹프로젝트용)
- Thymeleaf (html 템플릿 엔진)
Generate 해주면 Download 해서 zip파일로 받음
압축 풀어서 IntelliJ에서 실행
7. IntelliJ 에서 Open or Import -> build.gradle 프로젝트 파일로 열기

* 요즘은 main/test 폴더가 나뉘어져 있음.(표준화)
- main 밑에는 java/resources가 있음.
- java 밑에 실제 패키지랑 소스 파일
- test 에는 테스트 코드들과 관련된 소스 들어감(테스트코드가 요즘 개발 트렌드에서 중요)
- resources는 실제 자바 코드 파일 제외한 xml, properties, html 설정파일 등(자바 파일 제외 나머지)

8. build.gradle은 버전 설정이랑 라이브러리 가져오는역할
- dependencies 에서는 선택해준 라이브러리 외 테스트 라이브러리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있음
- 라이브러리를 다운받는 곳은 repositories의 mavenCentral()
- Compact Middle Packages


9. src -> main -> java 들어가서 main 메서드 실행


10. 해당 포트번호 웹으로 열어봤을 때 Error Page 뜨면 성공
메인메서드 실행하면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실행되면서 내장된 톰캣 웹서버를 자체적으로 띄워줌.


11. Preferences 설정에서 gradle 이라고 검색
- Build and run using/ Run tests using 도 IntelliJ IDEA로 바꾸기
- Gradle 통해서 run 하면 느리기 때문에 IntelliJ에서 바로 gradle 통하지 않고 자바 바로 띄워서 돌림(속도 향상)

'프로그래밍언어 > Spring&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게시판 만들기 2 _ 로그인 페이지 + 부트스트랩 + mySQL 다운로드 (62) | 2024.12.02 |
---|---|
[JSP] 게시판 만들기 1 _ 이클립스 자바 웹 프로젝트 환경설정 (6) | 2024.12.01 |
[JSP] forward(포워드) vs sendRedirect(리다이렉트) 방식 차이 (119) | 2024.11.27 |
JSP & Servlet 정리 1 (8) | 2024.11.01 |
[Spring] 제1강_ 스프링 개발을 위한 환경설정(윈도우)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