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마존 라이트세일(AWS Lightsail)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은 월 $3.5의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는 소규모 가상 서버(VPS) 서비스이다. 진입 장벽이 낮고, 사용법이 간단해 서버 입문자나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즉, Lightsail이라는 서비스는 라이트하게(작고 가볍게) 서버를 써야할 사용자에게 적은 돈만 받아서라도 차후 더 큰서버가 필요할 때 이미 익숙한 환경에 의존하도록 하는 입문용 서비스(엔트리 모델) 이다.
Lightsail은 단순한 가상 서버 이상을 제공한다. 작지만 유연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로드밸런서를 구성해 순간적으로 몰리는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AWS 서비스와의 연동성이 뛰어나다. 작은 서버임에도 불구하고 RDS(데이터베이스), S3(파일 저장소) 등 AWS의 주요 서비스와 연동해서 추후 확장이 가능하고, 자동 백업 및 스냅샷, 고정 IP 제공, 도메인 연결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이 커버된다. 최근 요금제가 개편되며 더 높은 사양의 인스턴스 옵션이 추가되었는데, 기존에는 라이트하게만 쓸 수 있었다면, 이제는 단순 테스트용을 넘어서 소규모 상용 서비스 운영도 가능할 정도로 스펙이 강화되었다.
필자는 교육용으로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다가, 예상치 못한 과금으로 월 7만 원 이상의 요금이 부과된 적이 있다. EC2는 유연하지만 요금 체계가 복잡하고, 무료 사용 범위를 넘기면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는 반면, Lightsail은 정액 요금제 기반이므로 예측 가능한 비용 관리가 가능하며, 초기 학습용으로 적합하다. 서버를 처음 다뤄보거나, 단순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해보고 싶은 사용자에게 특히 추천할 만하다. 초기에는 작고 가볍게 서버를 시작하게 하되, 사용자가 더 큰 서버나 복잡한 구성(Auto Scaling, VPC 등)을 필요로 할 경우 자연스럽게 EC2로 이전하거나 AWS 전반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2. AWS 프리 티어로 Amazon Lightsail 이용 시 혜택 (2025년 7월 22일 기준)
💡 공통 조건
- 신규 또는 기존 계정(2021.07.08 이후에 처음 Lightsail 시작한 경우)
- 계정당 1개 번들에만 적용
- 3개월 무료는 월 750시간까지 제공 (1대 상시 실행 가능)
- AWS Organizations 구성원인 경우, 조직 내 하나의 계정만 프리 티어 사용 가능
3. Lightsail 플랜 (2025년 7월 22일 기준)
플랜은 번들 유형이나, 날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aws 공식 웹사이트 pricing 페이지를 참고 하면 좋다.
VPS, 웹 호스팅 요금 - Amazon Lightsail - Amazon Web Services
Amazon Lightsail은 저렴하고 예측 가능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ghtsail은 메모리, vCPU, Solid-State Drive(SSD) 스토리지와 같은 리소스를 하나의 플랜으로 묶어 번들로 제공하므로, 예산 계획이
aws.amazon.com
1.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 모두 데이터 전송 허용량에 포함된다.
2. 플랜의 데이터 전송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에만 초과 비용이 부과된다.
초과 비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FAQ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aws.amazon.com/ko/lightsail/faq/
3. Lightsail for Research는 가상 서버를 제공하며 별도 요금이 부과된다.
4. 2023년 6월 29일 또는 그 이전에 생성된 가상 서버에는 vCPU가 1개 있다.
⚠️ 실사용 시 주의사항 (경험 기반)
- $5 플랜(Linux IPv6 기반)
→ 메모리(RAM 512MB)가 매우 적기 때문에 LEMP 스택 + WordPress 구동 시 MariaDB/MySQL이 자주 종료되는 현상 이 발생해서 웹사이트 성능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 - 최소 $7 플랜 권장 (Linux IPv4 기반)
→ 1GB RAM으로 WP+DB 조합에서도 안정적
→ IPv4 주소 기본 제공, 대부분의 웹 트래픽에 더 적합
✅ 추천
- 개인 블로그, 포트폴리오 목적이라면 $5 플랜이 가성비 및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적절하다.
- 상용/소규모 비즈니스용은 $7 이상의 번들도 고려해보자. (더 빠른 I/O, CPU 제공)
3. Lightsail 계정 기본 리소스 한도 (리전별/계정당)
라이트세일에서 인스턴스를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는 건 아니다.
- 인스턴스: 최대 20개 생성 가능
- 고정 IP(Static IP): 최대 5개
- DNS 존: 최대 6개
- 블록 스토리지 총량: 최대 16,000 GB (16 TB)
- 로드 밸런서: 최대 5개
- 인증서(TLS): 최대 20개 활성 인증서
Container 서비스나 배포 관련 개체도 리전별 할당량이 정해져 있다. 만약 위보다 더 많은 서버자원을 써야할 경우 아마존 고객 센터에 요청해야 한다고 하는데 DNS와 로드밸런서 한도 증가는 할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서버 자원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EC2로 넘어 가는 편이 낫다.
4. Lightsail 인스턴스 트래픽 산정 & 월별 제한치 초과시 과금
무료 트래픽과 유료트래픽 구분이 따로 있지만, $5 플랜 인스턴스라면 한달간 1 TB (테라 바이트)의 데이터 전송까지는 추가 과금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달동안 트래픽 허용치를 넘어서면 서울 리전은 초과분 1 GB(기가바이트) 당 $0.13 미국달러 요금을 내야한다. 무료로 제공되는 1TB를 쓰고나서 1TB를 더 초과해버리면 약 10만원을 더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2TB 짜리 상위 플랜으로 변경하는게 좋다. 리전(Region)별 월 데이터 전송량 초과시 1GB당 요금은 아래와 같다.
🌍 리전별 초과 요금 (Outbound 기준)
- Asia Pacific (서울): $0.13/GB
- Asia Pacific (도쿄): $0.14/GB
- Asia Pacific (뭄바이): $0.13/GB
- Asia Pacific (싱가포르): $0.12/GB
- Asia Pacific (시드니): $0.17/GB
- 미국, 캐나다, 유럽(Frankfurt, Ireland, London 등): $0.09/GB
5. 트래픽 구분에 따른 무료, 유료 전송량
구분 | 설명 | 예 |
In-bound | 서버로 들어오는 데이터 (요금 X) | 사용자 파일 업로드, 외부 요청 수신 |
Out-bound | 서버에서 나가는 데이터 (요금 부과 O) | 웹사이트 응답, 파일 다운로드 전송 |
요금은 Out-bound 기준으로만 추가 과금된다. In-bound는 무료이다. 한 마디로, 플랜의 데이터 전송 허용량 다다르기 전에는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우 둘 다 데이터 전송 허용량에 계산되나, 플랜 초과 시에는 서버에서 인터넷과 외부 AWS 리소스로 나가는 데이터 전송량에 대해서만 초과 비용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한 달에 1TB까지 무료로 제공되는 트래픽이 있는 서버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웹사이트 접속이나 파일 다운로드처럼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Out-bound)는 트래픽으로 계산되고, 내가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처럼 내부로 들어오는 데이터
(In-bound)는 무료이다.
✅ 첫 번째 사용예
웹사이트 접속으로 600GB를 쓰고, 파일 업로드로 800GB를 사용했다고 가정해보자. 총 데이터 전송량은 1.4TB처럼 보이지만, 그중 업로드는 요금이 붙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요금이 계산되는 Out-bound 트래픽은 600GB뿐이다. 이는 1TB의 무료 허용치보다 적기 때문에 추가 요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 두 번째 사용예
웹사이트 접속에 800GB, 파일 업로드에 200GB를 먼저 사용한 뒤, 추가로 웹사이트 접속 300GB, 업로드 500GB를 더 사용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총 전송량은 1.8TB이지만, 실제 과금 대상은 Out-bound 트래픽 1,100GB(=800 + 300GB)이다. 이 중 1TB는 무료 제공 범위에 해당되므로 초과된 100GB에 대해서만 요금이 청구된다. 결론적으로 전체 1.8TB를 사용했지만, 실제 과금은 100GB 분량에만 적용되는 셈이다.
이처럼 트래픽 계산에서는 서버로 들어오는 데이터는 무료, 밖으로 나가는 데이터만 요금 대상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가능하면 트래픽을 아껴 쓰거나 Out-bound 비중을 줄이는 방식으로 서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6. Lightsail 트래픽 사용량 확인 방법 (콘솔 기준)
[Lightsail 콘솔 접속]
https://lightsail.aws.amazon.com/
해당 인스턴스 선택 (트래픽 확인하려는 인스턴스 클릭)
상단 탭 중 매트릭스(Metrix) 클릭
Outgoing network traffic(수신 트래픽) 클릭
7. 비용 관리 꿀팁
필자는 이전에 사용한 리소스들을 종료하지 않아 과금 폭탄을 맞은 적이 있다. 이것을 방지 하기 위해 필자가 쓰고 있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AWS에서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예기치 않은 요금 폭탄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 방법들이니 꼭 사용해 보자.
1. AWS Pricing Calculator
https://calculator.aws/#/
리전, 인스턴스 타입, 스토리지, 전송 트래픽 등을 설정하면 예상 요금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활용해서 월 예상 비용을 계산 해 보자.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
2. AWS Budgets
사용 금액이나 예측 금액 기준을 설정 하고, 예산 초과 시 알림을 메일로 발송해주는 기능이다. 필자의 경우 과금 비용이 1$가 넘어가면 메일로 알람이 오도록 My Zero Spend Budget을 설정 해 두었다. 한 마디로 “월 1달러 넘으면 이메일 보내줘” 기능이다. 비용 외에도 사용량 기준도 설정 가능하다 (ex. S3 저장량, EC2 시간 등)
3. Lightsail 콘솔의 알람 기능 (Alarms)
Lightsail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경보 시스템이다. 이건 CPU 사용률, 네트워크 사용량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특정 인스턴스의 네트워크 Out이 갑자기 높아지면 알림을 받는 기능이다. Lightsail 요금제가 정액제라도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많아지면 초과 비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위에서 알아보았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리소스 상태를 감지해서 비용 증가 징후에 조기 대응이 가능하다. 즉, 더 높은 요금제로 미리 바꿔서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
4. 기타 팁
- 리전에 따라 가격 다른데 아시아 리전은 비싼 편이므로 프로젝트에 맞는 리전을 사용하자.
- 정지한 인스턴스에도 EBS 요금은 부과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필요 없으면 EBS 삭제하는 것은 필수이다.
- 과금 항목은 매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Billing Dashboard 또는 "Cost Explorer"를 활용해서 특정 기간동안 어떤 리소스에서 추가 과금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자.
함께 읽어보면 좋은 자료
아마존 AWS 공식 웹페이지 ▼
VPS, 웹 호스팅 요금 - Amazon Lightsail - Amazon Web Services
Amazon Lightsail은 저렴하고 예측 가능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ghtsail은 메모리, vCPU, Solid-State Drive(SSD) 스토리지와 같은 리소스를 하나의 플랜으로 묶어 번들로 제공하므로, 예산 계획이
aws.amazon.com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이란 : EC2 vs Lightsail 비교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이란 : EC2 vs Lightsail 비교 written by Hyojung Yoon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Amazon의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인 Lightsail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클라우드
www.smileshark.kr
이건 오래된 자료인데 진짜 꿀팁이라 가져왔습니다
아마존 라이트세일 요금의 모든 것과 비용 관리 방법 (서버 및 리소스 가격 책정 방법) | 스위프
콘텐츠 서버 유지관리비의 산정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Lightsail의 요금 사용하는 요소들에 따라 다른 비용들어갈 수도 있는데 무료 이용가능한 혜택과 초과시 어떤 비용이 들어갈지 알아보려고
swiftcoding.org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azon AWS 인프라 용어 정리 (16) | 2025.05.07 |
---|---|
[AWS] 제4편 아마존 AWS에서 과금 폭탄 맞았을 때 대처법 프로세스 총정리 (2) | 2025.04.29 |
[AWS] 실습 중 과금 폭탄 환불기 제3편 - ELB/VPC 삭제 후에도 과금 되는 문제 해결법 (region 설정) (3) | 2025.04.24 |
[AWS] 실습 중 과금 폭탄 환불기 제2편 - 아마존 AWS 팀 답변 (6) | 2025.04.23 |
[AWS] 실습 중 과금 폭탄 환불기 제1편 - 아마존 Support 팀 문의 (3) | 2025.04.22 |